우리 국민 3명 중 1명이 앓고 있다는 안구 건조증은 절대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되는 질환 중 하나입니다. 단순히 생활의 불편함을 넘어 우리 눈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질환이므로 생활 속에서 관리가 필요한데요. 오늘은 그래서 생활 속 안구 건조증 예방법에 대해서 하나하나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안구 건조증은 무엇인가?

안구 건조증은 단순히 눈물이 부족한 병으로만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자주 충혈되거나, 이물감이 있는 경우, 과도한 눈부심 등이 모두 안구 건조증의 증상이라 할 수 있죠. 이러한 안구 건조증을 예방하거나 치료하지 않으면 우리 눈의 눈물막이 파괴되면서 시력에 영향을 끼치고 심각한 안질환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안과를 방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눈물이 잘나는데 안구 건조증인가요?
눈물이 많은 것과 안구 건조증은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눈물이 많이 나더라도 안구 건조증 판정을 많이 받는데요. 눈 표면에는 눈을 깜빡일 때 안구를 보호하는 눈물막이 있습니다. 이 눈물막은 지방, 수성, 점액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세 층 중에 하나라도 이상을 일으키면 우리 눈이 건조해지는 것입니다.
2. 안구 건조증이 생기는 이유?
안구 건조증이 생기는 원인은 다양한데 크게 다섯가지입니다.
1) 노화
인간의 생로병사 중 가장 많은 원인을 제공하는 것은 역시나 노화입니다. 젊었을 때 촉촉한 눈을 가졌을지라도 나이가 들면서 안구 건조증이 생기는 분들이 많아지는데요. 노화가 되면서 눈물의 분비량은 물론 앞서 말한 눈물막이 이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2) 건조한 환경
인간의 몸은 생활하는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안구 건조증은 바람, 온도, 연기, 햇빛 등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데요. 또한 하루 종일 컴퓨터만 바라봐야 하는 사무직이나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은 안구 건조증을 불러옵니다.
3) 만성결막염
누구나 한 번쯤은 결막염으로 인해 고생해 봤던 적이 있을 것입니다. 대부분의 눈병은 급성일 텐데 이 같은 결막염은 짧게는 일주일이면 나았습니다. 그런데 이 결막염이 만성적으로 발생할 경우 점액 분비량이 적어지고 이를 통해 건조함이 심해지게 됩니다.
4) 여성호르몬 감소
여성호르몬은 우리의 눈에 영향을 끼치는 호르몬입니다. 따라서 여성호르몬이 줄어드는 갱년기 등에서 안구 건조증이 발생합니다.
5) 각종 질환
갑상선, 류머티즈 관절염, 비타민 A결핍증, 당뇨 등 역시 안구 건조증에 많은 영향을 끼칩니다. 또한 이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각종 항생제 등 역시 안구 건조증에 영향을 끼치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3. 생활속 안구 건조증 예방법?

현재 안구 건조증이 있거나 예방하고 싶은 사람들은 안구 건조증이 생활습관을 통한 관리만 잘해도 큰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을 꼭 아셔야 합니다. 안구 건조증이 생기는 원인에서도 찾을 수 있듯이 이를 해결하는 방법 역시 생활습관 곳곳에 있으므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 자외선 노출을 피해라
자외선을 눈에 그대로 쏘이면 우리 각막에 손상은 물론 염증을 일으켜 안구 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선글라스 등 착용을 통해 눈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로 자외선이 여름에만 많다고 생각하여 선글라스를 여름에만 착용하는 분들이 많을 텐데, 하얗게 쌓인 눈에 반사되는 자외선 등은 눈에 치명적이니 겨울에도 선글라스 사용은 패션이 아닌 필수입니다.
2) 지나친 난방기구 사용(실내 습도 부족)
겨울철 난방기구를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실내가 금방 건조해지는 것을 느낄 것이다. 건조함이 과해질 경우 우리 눈의 건조함을 불러 일으키게 되어 안구 건조증을 더욱 악화 시킬 수 있는데요. 겨울철에도 18~20도 정도의 온도와 습도 유지를 통해 눈의 수분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과도한 음주 피하기
술과 안구 건조증이 무슨 상관이 있겠냐고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우리가 잘 알다시피 술은 우리 몸의 탈수를 불러옵니다. 때문에 우리 눈의 수분 역시 함께 날아가게 되죠. 따라서 과도한 음주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인공눈물 잘 사용하기
가장 기본적일 수 있는 치료 방법이자 잘만 사용하면 귀찮아도 안구 건조증이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인공눈물은 방부제가 없는 것을 선택하고 하루에 6회 정도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요. 단순히 눈물을 채워주는 것뿐 아니라 눈물막의 지방층 이상에도 도움이 되니 인공눈물을 잘 사용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안구 건조증 좋은 음식은?
안구 건조증을 획기적으로 뒤바꿀 음식은 없습니다. 다만 추천하는 영양소는 있는데요. 오메가-3 지방산입니다. 우리의 망막은 DHA와 EPA 등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이 같은 성분이 우리 눈의 조직 재생을 도와 안구 건조증을 완화하는데 오메가-3 지방산에 이 성분들이 아주 많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국제안과학회지에 따르면 오메가-3 지방산을 섭취한 사람은 눈물 분비량이 증가했고 증발은 줄어들면서 안구 건조증이 완화되었다고 합니다.
오메가-3 지방산은 우리가 흔히 잘 알고 있는 고등어나 연어 등에 풍부합니다. 그중에서도 들기름은 오메가-3 지방산 그 자체입니다. 들깨에서 짜낸 들기름은 오메가-3 지방산의 비율이 무려 60%에 이르는데요. 오메가-3 지방산은 우리 몸에서 자연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식품이나 영양소로 섭취해야 하는데 들기름은 안구 건조증 예방법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지금까지 우리 삶을 불편하게 하고 눈의 시력과 건강을 위협하는 안구 건조증 예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누구나 걸릴 수 있는 흔한 병이라 생각해서 방심하지 마시고 꼭 생활 속에서 관리를 잘하셔서 눈 건강 꼭 지키셨으면 좋겠습니다.
HOW TO의 알면 도움 되는 꿀 건강 팁 추천! 갑작스러운 피부 반점? 장미색 비강진, 백색 비강진은 무엇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