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 위출혈 증상 발견! 혹시 암? 치료방법과 주의점, 예후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된 위출혈 증상, 대부분 사람들이 위염증상이나 헬리코박터균이 발견되었다거나 하는 선에서 끝나지만 위출혈은 암이라거나 더 큰 질환으로 갈 수 있는 증상이기 때문에 두려운 것이 사실이다. 건강검진 시 위출혈 증상이 발견되었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1. 위출혈 증상과 원인은?

위출혈 증상

위출혈은 말그대로 위에서 피가나는 현상으로 위장 점막이 헐거나 궤양 혹은 손상되어 혈관이 드러나게 되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건강검진을 통해 우연히 발견되거나 흑색변을 지속적으로 보거나 혹은 빈혈 등의 증상이 나타나 위출혈을 발견하기도 합니다.

1) 위출혈의 증상은?

위출혈 증상은 출혈의 정도에 따라 당연히 그 증상들이 천차만별입니다. 다만,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되었다면 평소 자각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어 아래와 같은 증상이 발생하지는 않겠지만 다만 출혈이 계속 지속되고 그 강도가 심해지면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어지러움, 호흡곤란, 식은땀 증상
  • 혈액을 토하는 토혈 증상이 나타나며 위출혈의 토혈은 암적색입니다. 폐나 호흡기의 문제로 진행되는 토혈은 선분홍빛입니다.
  • 위에서 발생하는 출혈이 소화기를 거쳐 대장을 거쳐가면서 검은피가 섞인 흑변을 봅니다. 여기서 대장 등 하부 장기의 출혈은 선분홍빛입니다.
  • 위출혈이 심할 경우 쇼크, 실신 등으로 이어져 사망할 수 있습니다. (질병보다는 사고)

2) 위출혈의 원인은?

위출혈의 원인은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궤양이나 암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생각보다 다양합니다. 따라서 위출혈이 발생했다고 과한 걱정을 하기보다는 대처가 중요합니다.

-소화성궤양

위의 상부쪽에 생기는 출혈 중 가장 많은 원인은 바로 소화성궤양입니다. 소화성궤양은 말그대로 위 벽에 궤양이 생기는 것으로 흔히 헬리코박터파일로리균에 감염되었거나 아스피린 등 진통소염제, 위염, 맵고 짠 음식 섭취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위액과 위산이 과다하게 분비되면서 위벽에 궤양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식도정맥류

최근 많이 발생하는 위출혈의 원인으로 식도에 있는 정맥이 혹처럼 부풀어 오르다 출혈이 발생하는 것으로 말합니다. 특별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며 식도정맥류가 발생할 경우 10명 중 2명은 사망할 수 있는 응급 질환 중 하나입니다.

-위암

위출혈의 원인 중 아마 가장 많은 사람들이 두려워 하는 질환일 것입니다. 다만 위암으로 인해 위출혈이 발생했다면 그것은 단순히 위출혈의 문제가 아니라 암을 늦게 발견한 확률이 큰 것이므로 위암 치료에 전념해야 합니다.

이 밖에도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로 인한 위손상, 심한 만성 위염 등이 발생해도 위출혈이 발생합니다. 또한 과한 음주로 인한 구토 중 위점막이 손상되어 위출혈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2. 위출혈 진단 및 치료 방법(주의사항)은?

위출혈 치료방법

위 출혈의 진단은 어떻게 될까요? 또 진단 후에 치료 방법은 물론 주의 사항은 무엇일까요? 자세히 한 번 알아봅시다.

1) 위출혈 진단 방법

-내시경

위출혈 진단의 가장 정확하면서도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단연 눈으로 보는 것입니다. 따라서 내시경을 통해 의사가 눈으로 직접 확인 한 뒤 어떠한 원인으로 출혈이 진행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시경을 통해 환부를 살펴보며 출혈 부위, 병변의 모양이나 상태, 출혈의 양 등을 통해 예후를 예측하고 정확한 치료 방법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출혈이 뿜어져 나오듯 진행되면 이는 출혈로 인한 쇼크사 등이 우려되므로 바로 치료를 진행하게 됩니다.

또한 출혈이 1,000ml로 많이 진행되면 토혈, 혈변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증상을 통해 대략적인 출혈의 양을 짐작할 수 있는 것이죠.

2) 위출혈 치료 방법

위출혈이 나타났을 경우 내시경을 통해 치료 여부를 판단합니다. 만약 출혈량이 과도하다면 내시경을 통해 즉각 지혈술을 실시하게 됩니다. 이때 내시경 지혈 요법에는 출혈 부위에 약물을 직접 주입하여 출혈 혈관을 막고 혈액을 응고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 내시경을 통해 전기 및 레이저를 활용하거나 고무밴드 및 스테이플러로 집어서 막는 지혈법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후 입원을 진행하여 약 1일~3일은 추후 경과를 살펴보고 다시 내시경을 통해 출혈 여부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만약 위출형 증상이 과하지 않다면 경구용 약을 수령하여 자연치유 하면 됩니다.

3) 위출혈 이후 주의 사항

위출혈 진단을 받았을 경우 다음과 같은 주의 사항을 꼭 지켜야 합니다.

– 위산 분비 조절 (자극적 음식 피하기)

위출혈 진단 이후 위산 분비 억제제 등을 먹어 위산을 분비해주어야 합니다. 과도한 위산은 위벽을 약화하고 출혈 부위를 자극하므로 위산 분비 억제제 등을 활용하고 위를 자극할 수 있는 자극적인 음식은 피해야 합니다.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 제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은 소화성 궤양을 일으키는 주범이자 이를 통해 출혈을 일으키는 놈들입니다. 헬리코박터균만 잘 잡아도 소화성 궤양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위출혈의 원인을 제거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헬리코박터파일로리를 제균 하는 처방을 받아야 합니다.

– 진통소염제 등 약물 주의

진통, 해열, 염증 등에 쓰이는 비스테로이드소염제 약물을 먹고 있다면 잠시 중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위출혈 예후

간단한 위출혈의 경우 10명 중 8명은 출혈이 멈추게 됩니다. 다만 2명은 계속 출혈이 발생하여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특히 식도정맥류, 위암 등으로 발생한 위출혈의 경우에는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원인으로 발생한 위출혈이냐에 따라 예후가 현격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출혈로 인한 증상이 발생했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야 하며 상대적으로 무증상이며 건강검진 등에서 발견되었다면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적당한 치료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HOW TO의 알면 도움 되는 꿀 건강 팁 추천!

꼭 알아야 할 위암의 원인 헬리코박터 균 자연치료 및 없애는 방법!

건강검진 위내시경 위점막하종양 수술 방법과 치료는?

Leave a Comment